리뷰ⅰ/기타

전통시장을 찾아서 '통인시장 그리고, 세종마을의 역사 및 유래'

라운그니 2012. 2. 7. 02:34
728x90



전통시장을 찾아서 그 두번째 시리즈로 서울 통인시장을 다녀왔습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통인시장과 세종마을의 역사 및 유래를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 좀 무거운 내용으로 또 시작을 하게 되네요. 하지만, 통인시장의 경우 특히, 역사나 유래를 먼저 알고 시작하는것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자, 시작해 볼까요?

통인시장은 대한민국의 중심지인 광화문을 중심으로 서쪽엔 서촌(西村), 북쪽엔 북촌(村)이라는 오래되고 깊은 역사를 가진 지역과 인사동, 청와대를 가까이 두고 있는 6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종로구 통인동에 위치한 전통시장입니다. 

특히, 4대문[각주:1]내 유일하게 서민들이 찾는 골목형 시장이고, 현재는 종로구에 유일하게 남은 전통시장이기도 합니다. 물론, 경북궁역을 주위로 조그마한 시장 및 음식점 등이 즐비하긴 하죠.



서촌과 문화, 예술

우선 통인시장을 끼고 있는 세종마을 즉, 서촌에 대해 알아봐야 통인시장이 어떻게 자리잡고, 왜 문화와 예술이 깃들어 있는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서촌은 조선 시대부터 민가들이 밀집해 있던 지역으로 지리적으로 좋은 위치에 있어 예로부터 자연과 교류하며 생활하였던 곳이라고 전해집니다.

또한 내수사 등의 관아시설도 위치해 있어 정부소유의 넓은 대지가 많아 일제 강점기 때에는 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관사, 동양척식주식회사 관사, 국립순화병원, 윤덕영 별장과 이완용 별장 등 일제의 중요한 시설들이 들어섰던 곳이기도 하죠.

하지만 한국전쟁과 근대화를 거치면서 역사적 기록이나 흔적은 사라지고 도시의 모습은 급속도로 변화하기 시작했다는데요. 

조선후기부터 서촌은 사회 경제 문화 등의 도시문화가 변화하면서 중인 계층이 새로운 중심세력이 되었다고 전해집니다. 서촌에 대부분 거주한 중인들은 이곳을 중심으로 그들만의 문화를 꽃 피웠는데 그 대표적인 것인 시사(詩社 - 시 동호회) 모임과 진경 문화(眞景 文化)[각주:2]라고 합니다.

이들 모임이 서촌에서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었던 이유는 중인들이 많이 살았던 이유도 있지만, 서촌이 도성 안에서 산수경관이 빼어나 중인들이 자연과 함께 문화생활을 누릴 수 있는 기본적인 터를 제공하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결국, 이러한 사회적, 자연적 배경으로 인하여 서촌은 예술 문화가 서려 있는 조선후기 도성의 중심공간이었고, 자연스레 그 주변을 중심으로 시장이나 문화, 예술적 교류가 생기기 마련이었죠.



통인시장의 유래


사실 통인시장은 언제부터 형성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습니다. 다만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곳으로 통인시장 주변으로는 한옥주거지가 형성되어 주민들의 생활문화를 잘 살펴볼 수 있죠. 통인시장의 경우 2005년 아케이드 사업을 통하여 시장의 정비가 이루어졌다고 합니다.

그 외 주변으로 2000년 이후 대림미술관, 진화랑 등의 문화시설들이 나타나고 현재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이들은 본래 장의궁 본궁과 자수궁, 창의궁이 위치하였던 곳으로 역사적 의미를 지닌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인시장은 이들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여 생활, 문화활용적 가치가 큰곳이라고 불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지난 2010년 서울시는 종로구 통인시장을 문화와 예술이 함께하는 ‘서울형 전통시장’으로 지정하고 육성하기 시작했는데요. 지금도 지방자치단체 및 여러단체들의 협력으로 통인시장을 살리기에 동참하고, 전통시장으로서 문화, 예술시장으로서 홍보하고 있죠.

어떻게 보면 전국의 전통시장을 살펴보더라도 이렇게 오랜 역사가 깃들어 있는 시장이 또 있을까 싶습니다.  

  1. 흥인지문ㆍ숭례문ㆍ돈의문ㆍ숙정문과 그 문을 연결하는 성곽으로 이뤄진 공간 내부를 의미하며 총면적은 1,690만㎡에 달함 [본문으로]
  2. 진경시대라는 것은 조선왕조 후기 문화가 조선(朝鮮) 고유색(固有色)을 한껏 드러내면서 난만한 발전을 이룩하였던 문화절정기(文化絶頂期)를 일컫는 문화사적(文化史的)인 시대구분(時代區分) 명칭(名稱)입니다. 진경문화가 이 시대에 이르러 이처럼 난만한 꽃을 피워 낼 수 있었던 것은 그 문화의 뿌리가 되는 조선성리학(朝鮮性理學)이라는 고유 이념이 이 시대에 이르러 완벽하게 뿌리를 내렸기 때문이죠. [본문으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