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형 신형 에쿠스 VS380 시승기 1부 '외관 디자인 및 페이톤과 비교한 내부 디자인', 흑간지
이번에 소개해드릴 차량은 에쿠스 VS380 라인업중 최고옵션인 VVIP Pack 모델입니다. 선루프와 First Class VIP 시트 옵션을 뺀 것으로 가격만 약 1억 정도하는 차량입니다. 형님의 회사 오너께서 이전에 타시던 체어맨을 처분하시고, 이번에 새로 구입한 차량인데요.
언제 이런 차를 타보겠습니까? 오랜시간에 걸쳐 시승했던건 아니고, 영업사원이 차를 전달하고, 약 세시간 정도 동승 및 시승을 해보게 되었습니다. 출시된지 오래되서 좀 늦은감이 있는 시승기네요.
1. 외부 디자인
신형 에쿠스는 현대자동차가 추구하는 플루이딕 스컬프쳐 디자인 컨셉이 적용이 되어 세련미가 돋보이는데요. 1세대의 각진 스타일에서 2세대 모델로 풀체인지 되면서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컨셉을 바탕으로 시각적으로 스포티하고 날카로운 이미지가 느껴지는 모습이었습니다.
리어부분으로 넘어가 볼까요? 리어는 오히려 잘 정리된 모습을 느낄 수 있었는데요. LED 테일라이트의 끝으로 범퍼쪽에는 크롬바가 덧붙여 있어 심심하지 않게 포인트를 준 것 같고, 깔끔하게 표현을 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요즘 추세에 맞게 범퍼 내장형 머플러도 눈에 뜁니다.
하지만, 긴 시간이 흘러 2세대 에쿠스는 순수 국내기술로 만들어 졌는데, 1세대의 모습을 전혀 찾아볼 수 없는 현대자동차만의 아이덴티티를 가지고 있는 차로서 그 가치를 인정할만 합니다.
2. 폭스바겐 페이톤과 비교한 신형 에쿠스 내부
신형 에쿠스의 내부는 비교대상이 마땅치 않아 이전에 흑간지, SJ가 제타 입고로 빌려오게된 페이톤 3.0TDI 모델로 잡았습니다. 어찌보면, 내부는 신형 에쿠스와 페이톤의 내부 비교가 되겠네요.
운전석의 도어를 열었는데, 엄청 묵직했습니다. SM520V 보다는 훨씬 무겁게 느껴졌고, 도어가 열리는 체결부위 또한 잘 마무리가 된 모습이었습니다.
에쿠스 운전석 |
페이톤 운전석 |
하지만, 페이톤과 비교했을 때 페이톤이 가지고 있는 그 럭셔리함과는 약간 거리가 있는 그런 럭셔리함이었던 거 같습니다. 신형 에쿠스에도 각종 우드나 고급자재를 사용해서 마감처리를 했지만, 뭐랄까요? 제대로 정리가 잘 되지않은 너저분한 모습이랄까요? 그런 것이 느껴졌죠. 에쿠스 운전석 에쿠스 센터페시아 페이톤 운전석
물론, 페이톤의 경우 에어콘 부위는 모두 가려져 있어 더 잘 정돈된 느낌이었겠지만, 고급 럭셔리 차량인 만큼 좀 더 신경을 써서 전체적으로 다듬는 디자인을 했다면 어땠을까 아쉬움이 남는 부분입니다.
에쿠스 계기판 |
페이톤 계기판 |
에쿠스 기어노브 |
페이톤 기어노브 |
비록 기어노브 뒤로 전자통합정보시스템인 DIS(Driver Information System)라 불리는 운전자 통합 컨트롤러가 장착되어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편하다 할지라도 '보기에 좋은 떡이 먹기에도 좋다'라는 옛말이 있듯이 전체적인 디자인과 마감처리에 있어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이 들긴합니다. 1억이 넘는 차량인데도 말이죠... 페이톤도 약 9000만원 이상이 넘죠.
오디오는 외제차인 롤스로이스와 제네시스에만 장착되는 독일 하만베커(Harman Becker) 사의 렉시콘 사운드인데요. 실내에만 17개의 스피커가 장착되어 약 528W로 출력을 내고, 이미 알려진것 만큼 특징있는 음정이나 음색을 들려줬습니다.
앞좌석 시트포지션 조절장치 |
뒷좌석 시트포지션 조절장치 |
하지만, 그 조절장치 위치가 다른데요. 페이톤의 경우 시트 아래에 에쿠스는 도어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사용성으로 볼 때, 에쿠스가 더 나을 거 같네요.
자, 이제 뒷자리로 가볼까요?
뒷 좌석 도어도 마찬가지로 엄청 묵직한데요. 신형 에쿠스는 도어를 닫지 않고 살짝 두면 자동으로 닫히는 파워도어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이 기능이 은근히 순간 이 차가 최고의 차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었습니다.
사실 에쿠스가 직접 운전하는 것보다는 쇼퍼드리븐 즉, 사장님의 차라고 불릴만큼 사용 용도가 그리 정해진 차량인데요. 실제 운전하지 않는다면 느끼지 못할 부분이지만, 폭스바겐 페이톤에 비해 데쉬보드나 센터페시아, 기어노브 부위, 계기판 등 전체적인 마감품질이 그리 좋지만은 않았습니다.
페이톤과 비교를 해보니 장점보다는 단점이 많이 발견되었던 거 같습니다. 앞으로 차기 F/L가 진행이 될 때, 이 부분들의 개선이 필요할 것 같네요.
다음 포스팅은 신형 에쿠스 VS380 의 주행성능에 대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ㅁ 몇몇 이미지 출처
2012년형 에쿠스 - http://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5238
2002년형 에쿠스 - http://auto.naver.com/car/main.nhn?yearsId=13352